본문 바로가기

IT27

OAuth 이번 프로젝트를 하면서 OAuth를 통해 로그인를 구현했다. OAuth는 사용자의 패스워드 없이도 권한을 위임받아 사용자가 가입된 서비스의 API에 접근하는 기술이다. 장점은 훨씬 더 안전하게 상호작용하여 이용 가능점이 있다. OAuth 3가지 주체 우리가 만든 서비스를 mine => 클라이언트 사용자를 user => 리소스 오너 (자원 소유자) their => 리소스 서비 (자원 서버) 각각의 역할을 알아보자 유저의 요청에 의해 their가 엑세스 토큰을 발급함(나의 서비스가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만 부분적 허용) 우리가 엑세스 토큰을 OAuth를 통해 획득해서 이를 통해 데이터를 가져와서 사용 할 수 잇는 것 1. 등록 절차 클라이언트가 사전에 리소스 서버 등록하기 (클라이언트 정보랑 리다이렉트UR.. 2022. 8. 1.
URI vs URL vs URN 비교 및 특징 정리 URI vs URL vs URN Protocol // HOST :PORT /PATH Query String Fragment https ://127.0.0.1 :8000 /articles/3 ?q=”검색어”&title=”제목” #content Protocol 브라우저가 사용해야 하는 프로토콜(규칙) Host 요청을 받는 웹 서버 Port 웹 서버 안에 리소스에 접근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적인 문 번호. 포트 번호를 통해서 한 컴퓨터에 존재하는 여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Path 웹 서버 상의 리소스 경로 Query String Parameter 웹 서버에 제공하는 추가적인 데이터 & 로 구분되는 key - value 쌍 Fragment HTML 문서의 특정 부분을 보여주기 위한 방법 부분 식별자라고 불리며.. 2022. 7. 28.
[git] 깃 브랜치 사용법 / git branch 생성 변경 삭제 깃 브랜치 생성 후 변경 및 삭제 해보기 깃 브랜치 만들기 git branch 브랜치이름 깃 브랜치 확인하기 git branch 깃 브랜치 변경하기 git switch 브랜치명 새로운 브랜치 생성 및 브랜치 변경 git switch -c 브랜치명 작업을 마지막 커밋 상태로 복원 git restore 파일명 브랜치 삭제 git branch -d 브랜치명 2022. 7. 25.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차이 및 특징 정리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웹 서버(Web Server): 웹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들이고, 그림, CSS, 자바스크립트를 포함한 정적인 HTML 문서를 클라이언트로 전달합니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WAS): 프로그램 실행 환경과 데이터베이스 접속 기능을 제공하며, 여러 개의 트랜잭션을 관리합니다. 업무를 처리하는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합니다.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면 웹 서버는 해당 요청을 분석합니다. 정적 페이지만 필요하면 바로 응답할 수 있고, 만약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해야 한다면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요청해서 결과를 받아와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합니다. 왜 굳이 둘을 구분해야 할까요? 리버스 프록시(Reverse Prox.. 2022. 7. 19.
퍼셉트론이란? 퍼셉트론 특징 정리 퍼셉트론 퍼셉트론(perceptron)은 인공신경망의 한 종류로서, 1957년에 코넬 항공 연구소(Cornell Aeronautical Lab)의 프랑크 로젠블라트 (Frank Rosenblatt)에 의해 고안되었다. 이것은 가장 간단한 형태의 피드포워드(Feedforward) 네트워크, 선형분류기로도 볼 수 있다. 구조 초기 신경망 분야의 연구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퍼셉트론은 본래 1950년대에 Rosenblatt가 제안한 것으로 수용층, 연합층, 반응층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용층에서는 외부 자극을 받아들이고, 연합층은 수용층의 가중 압력을 받아 반응층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반응층은 최종 출력을 내보내는 기능을 한다. 퍼셉트론은 연결 강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반복적 학습 방법을 사용한.. 2022. 7. 11.
DevOps란? 데브옵스 특징 정리 DevOps 개발(development)과 운영(operation)의 합성어로, 어떤 기술이 아닌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중 하나 기존에는 개발팀과 운영팀이 나뉘어져 있어 서로 의사소통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었는데요. 그러다 보니 프로그램의 배포, 테스트 및 안정화 작업에 비효율을 초래하기도 했습니다. 개발팀과 운영팀은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 하나가 되어 소통하고, 효율성을 높이며 최선을 다합니다. 특징들 Cross Functional Team: 하나의 팀에서 서비스 기획부터 배포, 테스트까지의 모든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수행합니다. Widely Shared Metrics: 팀원 모두가 우리 서비스가 잘 돌아가고 있구나, 이 부분은 좀 부족하구나 처럼 서비스가 운영에서 잘 돌아갈 .. 2022.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