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study/Http & Network4 [CS] HTTP request methods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웹 상에서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약속으로 HTML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 올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이다.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초이다. 요청(request) :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는 메시지 응답(response) : 서버에서 응답으로 전송되는 메시지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은 요청과 응답 중 하나다. HTTP의 특성 - stateless (무상태성) - connectionless (비연결지향) 이러한 특성때문에 쿠키와 세션을 통해 상태 연결한다. 요청 예시 응답 예시 응답에는 서버의 상태코드가 있고, 상태 코드에 대한 메세지도 있음 헤더는 아까 요청보다는 많은 정보 갖고 있음 HTTP request m.. 2022. 9. 5. [CS] 정적 웹 페이지와 동적 웹 페이지 Web 웹이란? Web은 World Wide Web의 약자로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전 세계적인 정보 공간 웹에서 중요한 키워드 4가지 클라이언트, 서버, 요청, 응답 이 네가지 키워드중요 클라이언트 => 웹 브라우저(ex 크롬) 서버를 구축하는 프레임워크 => 장고 그니까 크롬으로 네이버 키면 네이버 서버에 네이버 메인 페이지를 달라는 요청을 주는거라 서버가 응답으로 네이버 html을 응답해주면 브라우저가 우리한테 보여준다. Static web Page (정적 웹 페이지) 서버에 미리 저장된 파일이 사용자에게 그대로 전달되는 웹 페이지로, 서버가 정적 웹 페이지에 대한 요청을 받은 경우, 서버는 추가적인 처리 과정 없이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보냄 따라서 모든 상황에서 모든.. 2022. 9. 4. [CS] TCP/IP 란? TCP/IP 계층 별 특징 정리/ TCP/IP 통신의 흐름 웹과 네트워크의 기본 TCP/IP 1. 정의 컴퓨터와 네트워크 기기가 상호간에 통신하기 위해선 서로 같은 방법으로 통신해야함 서로 다른 하드웨어와 운영체제 등을 가지고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선 모든 요소에 규칙이 필요함 이러한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부름 인터넷과 관련된 프로토콜을 모은 것을 TCP/IP 라고 부름 2. 계층(Layer) 별 특징 TCP/IP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트랜스포트 계층, 네트워크 계층, 링크 계층으로 나뉨 계층화 한 이유 만약 사양이 변경되었을 때 전체를 바꾸지 않으면 안되지만, 계층화되어잇으면 사양이 변경된 해당 계층만 바꾸면 됨 또한 설계시 자신이 담당하는 계층만 설계하면 됨 애플리케이션 계층 유저에게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통신의 움직임을 결정 예를 들면 FTP,.. 2022. 8. 8. [CS] HTTP란? 정의 / 등장 배경/ 발전 과정 웹과 네트워크의 기본 HTTP란? 1. 정의 웹 브라우저는 웹 브라우저 주소 입력란에 지정된 URL에 의지해서 웹 서버로부터 리소스라고 불리는 파일 등의 정보를 얻고 있음. 이렇게 클라이언트에서 서버까지 일련의 흐름을 결정하고 있는 것을 웹에서 HTTP라고 불리는 프로토콜이다.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은 HTML과 같은 하이퍼미디어 문서를 전송하기위한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프로토콜입니다. 프로토콜 : 약속 클라이언트 : 서버에 의뢰를 하는 웹 브라우저 즉, 웹은 HTTP라는 약속을 통한 통신으로 이루어져있음 2. 등장 배경 초기 HTTP의 목적 ⇒ WWW는 세계 곳곳에 있는 연구자들의 지식 공유를 지원하기 위해서 제안되었다.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 3. 발전 과정.. 2022. 8.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