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6948
16948번: 데스 나이트
게임을 좋아하는 큐브러버는 체스에서 사용할 새로운 말 "데스 나이트"를 만들었다. 데스 나이트가 있는 곳이 (r, c)라면, (r-2, c-1), (r-2, c+1), (r, c-2), (r, c+2), (r+2, c-1), (r+2, c+1)로 이동할 수 있다. 크
www.acmicpc.net

1) 요구사항 분석 : 문제 읽기
크기가 N×N인 체스판과 두 칸 (r1, c1), (r2, c2)가 주어진다. 데스 나이트가 (r1, c1)에서 (r2, c2)로 이동하는 최소 이동 횟수
2) 설계 : 접근 방식
데스 나이트가 이동할수 있는 곳이 체스판 안에 있는지 확인하는 함수를 만들어줌
bfs이용해서 풀어줌
bfs의 값이 false이면 -1 출력
# BOJ16948 데스 나이트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que = deque()
n = int(input())
r1, c1, r2, c2 = map(int, input().split())
visited = [[False for _ in range(n)] for _ in range(n)]
di = [-2, -2, 0, 0, 2, 2]
dj = [-1, 1, -2, 2, -1, 1]
def in_range(x, y):
return 0 <= x < n and 0 <= y < n
def bfs():
global ans
global que
while len(que) > 0:
size = len(que)
for i in range(size):
tem = que.popleft()
for i in range(6):
ni = tem[0] + di[i]
nj = tem[1] + dj[i]
if in_range(ni, nj) and visited[ni][nj] == False:
visited[ni][nj] = True
que.append([ni, nj])
if ni == r2 and nj == c2:
return True
ans += 1
return False
ans = 0
que.append([r1, c1])
visited[r1][c1] = True
if r1 == r2 and c1 == c2:
print(ans)
else:
ans = 1
if bfs():
print(ans)
else:
print(-1)'알고리즘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 [BOJ / 백준] 11279 최대 힙 python / 파이썬 우선순위 큐 / 힙 (0) | 2023.07.14 |
|---|---|
| [BOJ / 백준] 5014 스타트링크 python / 파이썬 bfs (0) | 2023.07.11 |
| [BOJ / 백준] 14940 쉬운 최단거리 python / 파이썬 bfs (0) | 2023.07.02 |
| [BOJ / 백준] 13904 과제 python / 파이썬 (0) | 2023.06.14 |
| [BOJ / 백준] 1743 음식물 피하기 python / 파이썬 (0) | 2023.06.12 |
댓글